대한민국 0.1%만 간다는 서울대┃그 안에서도 A+만 받는 사람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인가┃서울대 A+ 학생 1000명의 데이터 몰아보기┃다큐프라임┃#골라듄다큐

248371
1012
2983
17.11.2023
EBSDocumentary (EBS 다큐)

EBSDocumentary (EBS 다큐)

3656232325
3640000
38535
30.05.2012
Описание видео: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을까? 대한민국 최고의 공부 달인들이 모인 곳, 서울 대학교. 그 중에서도 최고의 학생으로 꼽히는 서울대 A+ 학생의 비밀은 무엇일까?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7년간 근무한 이혜정 소장은 이전에 아무도 연구하 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의 연구를 생각해냈다. 서울대에서 4.0 이상 학점을 받는 최 우등생 46명의 행동 패턴을 연구한 뒤, 이를 바탕으로 서울대 전체 학생 1,213명에 게 설문조사를 실시해 ‘공부 잘하는 학생’에 대한 빅 데이터를 만든 것! 몇 년에 걸친 연구 끝에 마침내 '서울대 A+' 학생들의 ‘평균적인 모습’이 베일을 벗 었다. 하지만 기대와 너무도 다른 결과를 보고 크나큰 충격에 휩싸인 이혜정 소장 과 연구팀. 12월 14일 저녁 9시 50분에 방영되는 교육대기획 ‘시험’ 4부 '서울대 A+의 조건'에서 그 이유가 밝혀진다. 정답 아닌 ‘정해진 답’ 만을 강요하는 한국 교육에 던지는 의문 이미 정해진 답만이 바른 답이고, 출제자의 의도와 다른 답은 모두 틀린 답이라 배 우며 ‘덜 생각하는 법’을 훈련하는 학생들. 우리가 끊임없이 만나는 시험엔 학생의 생각이 끼어들 틈이 없다. “이것은 연필입니다. 이것은 연필일 수도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문장의 차이는 무엇일까? 한 가지의 정해진 답만 강요하는 교육이 떠오 르는 생각을 어떻게 가로막는지,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앨런 랭어 교수의 놀라운 실험을 통해 되짚어본다. 우리는 과연 어떤 학생들을 키우고 있는가?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시험 4부 서울대 A의 조건 ✔방송 일자 : 2016.11.16 #다큐프라임 #시험 #서울대 #서울대조건 #서울대A+ #서울대공부비법 #공부방법 #서울대진학 #서울대목표 #서울대입시

Кадры из видео
대한민국 0.1%만 간다는 서울대┃그 안에서도 A+만 받는 사람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인가┃서울대 A+ 학생 1000명의 데이터 몰아보기┃다큐프라임┃#골라듄다큐
대한민국 0.1%만 간다는 서울대┃그 안에서도 A+만 받는 사람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인가┃서울대 A+ 학생 1000명의 데이터 몰아보기┃다큐프라임┃#골라듄다큐
대한민국 0.1%만 간다는 서울대┃그 안에서도 A+만 받는 사람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인가┃서울대 A+ 학생 1000명의 데이터 몰아보기┃다큐프라임┃#골라듄다큐
대한민국 0.1%만 간다는 서울대┃그 안에서도 A+만 받는 사람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인가┃서울대 A+ 학생 1000명의 데이터 몰아보기┃다큐프라임┃#골라듄다큐
Тэги из видео
Комментарии пользователей:
@user-fg4nr9xc7f
2023-12-01 18:08:02

서울대 출신 백수들 얼마나 많은데 거길 왜가지? 의대를 가야지

@jetsetkr
2023-12-01 10:19:25

우리 어른들은 정말 반성해야 한다. 정신 차릴 때까지 자진해 매를 마구 맞아야 한다.
우리의 아이들과 젊은 청년들을 보면 눈물이 난다.
그들의 미래를 우리 어른들이 망치고 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99arther
2023-11-30 03:16:10

저는 수업시간마다 질문 꼭 하나씩 했고, 그래서 별명이 good questioner였고, 이렇게 해서 교수님이 주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요즘 후배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좋은 질문을 수업 중에 하면 졸던 친구들도 깨고, 교수님도 강의에 더 열정을 가지시게 되고 수업 분위기가 매우 좋아집니다. 포인트는 쓸데없이 자기 혼자만 궁금한 질문을 그것도 여러개 하는 것은 수업전체 분위기를 고려해서 자제하고, 핵심적이고 전체 강의에 도움이 될만한 좋은 질문만 1~2개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질문을 잘 하는 것도 다 높은 '사회적인 지능'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_Nill_.
2023-11-30 03:09:04

'내가 하라는대로만 하면 합격 할 수 있어.'
그냥 어렵게 생각할 필요없이 입시미술만 보면 답 나옴.
딱 전형적인 넌 생각하지마 교육방식의 날것 그대로를 볼 수 있음.

@99arther
2023-11-30 03:08:01

저는 녹음 하나도 안 하고, 4.3 만점에 평점 4.1 가까운 4년 전체 평균평점으로 서울대 수석졸업했습니다. 앵무새처럼 따라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교수님이 무엇을 강조하시는지, 교수님의 포인트를 잘 받아들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즉 교수님의 마음을 읽는 것입니다. 지금은 변호사로 일하고 있는데, 판사님의 짧은 한 마디만 들어도 판사님의 마음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 승소율이 높고, 질 사건도 이기기도 합니다. 사회에 나와 보니, 사회적인 지능(상대방의 마음을 빨리, 정확히 캐치하는 능력)이 인간관계, 사업파트너, 의뢰인 등 거의 모든 관계에서 핵심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회적인 지능은 상대방의 마음을 빨리 읽고 겸손하고 진지하게 먼저 이해해보려고 하는 태도가 기본입니다. 외국어로 치면 리스닝이 되지 않으면 절대로 스피킹을 잘 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자기 말만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거든요...

@user-jr2xk9ij3s
2023-11-29 23:30:03

창의력을 테스트할 수 없죠. 창의력은 점수매길 수 없다는 거죠. 그건 사업가나 현업 필드에서 발휘되거나 기업의 집단지성에서 발휘됩니다.

대학포함해서 학교공부는 기초를 기본지식 바탕을 다지는 거죠.
중요한 것은 반드시 외워야해요.
서울대 교수님 전체필기가 비결이라는 결과는 충격이지만 충격받을 필요없어요.어떤분야는 기초지식 중요하거든요.
학점 안좋아도 의대시험 합격했으면 인정하는 것을 예로 들께요.
그런 사회가 되야해요. 한국 병원 중 1등하는 이유는 뭘까요. 닥치고 외우는 기간. 창의적 닥터논문. 결국 시간도 필요해요. 창의적 논문은 존경을 하는 사회가 중요합니다. 기업들의 창의적 연구 지원 사업으로의 연결도 병행되야해요.
대학교육에서 교양수업 싫어하는 인재들은 밴처공동수행보고서 업적도 대체학점으로 인정하고
개인 생각만 담은 논문도 대체학점으로 전공교수들이 인정하면됩니다.

닥치고 외운 인재들은 단기간에 강력한 세계2등을 만들어요. 그것도 중요해요.
세계2등 만들었다면 3등은 따돌릴 수 있죠. 이제 그걸 바탕으로 1등 되려면 창의력을 발휘해야죠.
다큐에 충격받을 필요 없다고 봅니다. 학점 잘 받으려고 전체필기한 사람들을 욕할필요 없어요. 개인의 선택입니다.

논문을 봐야하는 이유가 여기서 나와요. 창의적이고 멋진 생각은 논문에서 나오죠. 국가시험처럼 평균60점 이상받으면 자격주자구요. 동시에 자기 생각으로 만든 창의적 논문의 갯수로 동시에 인재를 평가하면됩니다.

@noahchoi2004
2023-11-29 06:27:59

노벨상보다는 그동안 창의적이지는 못해도 그동안 코피터지게 외우기, 베끼기 교육으로 양산된 인재로도 세계에서 십위권 정도의 국력 정도를 유지하면서 있는데 굳이 교육.정치 기득권층이 불편함 감수하고 바꾸려고 할려나 모르겠습니다 .

@cwm6352
2023-11-29 00:21:50

한국이 노벨상 1도 없는 이유.. 아 DJ?😂😂

@user-uk6gx3lc8s
2023-11-29 00:06:09

kpop이 왜 뜨는지 알겠조...항상 창의성을 원하죠. 남과 똑같이 하면 안되는 곳이죠.

@producertime5023
2023-11-28 22:12:15

A+ 받으려고 달달 외우는 거 대부분 인문사회대 쪽 얘기인데... ㅋㅋ 노벨상 못 받는 원인은 공대 자연대 문제고

@wisdom4817
2023-11-28 14:06:45

인재를 성장시키지 못하는
현실이군요 안타깝네요
놀라운연구입니다

@manro6962
2023-11-28 07:05:56

근데 URwbzJBMUis&t=10m00s 10:00 여기서 조사한 서울대 학생들은 다 문과고 URwbzJBMUis&t=19m22s 19:22 외국 학생들은 이과가 많은 것도 영향 있을듯 문과보다 상대적으로 이과는 교수의 잣대가 덜 중요하고 학습 내용이 중요하니

@user-wq4xz7gg1m
2023-11-28 06:03:54

서울대 교수들 의 평가 및 공부 방식이 "쓰레기" 입니다.
우리 나라는 영원히 노벨상 수상자
없을것 입니다.ㅡ슬픈 현실 임.
한심한 공부 방식은 서울대학 이나 지방대학 이나 창의성은 없고, 실력
의 평등성을 가져오니.....지식은 없다.

@user-op6ql1jl9l
2023-11-28 02:06:49

교수님이 원하시는 답이 있어요. 그걸 해야 좋은 학점을 맞는거 맞잖아요. 저는 중학생 학부모입니다. 중학생들도 마찬가지예요. 이번 학기 과학 수행평가가 보일법칙, 샤를법칙을 실생활에서의 예시를 찾아 쓰시오. 였는데.. 교과서것을 그대로 받아적은 친구들은 100점. 미리 찾아서 공부해가고 조사해간 저희 아이는 감점. 뭐가 문제일까요.. 속상해 하던 동생을 지켜보던 큰 아이가 하는말이 더 웃픕니다. 잘 하려고, 독창적인거, 창의적인거 필요없다. 어차피 선생님들은 교과서가 답이야. 객관적인 지표를 가장 중요시 한다. 잘못 채점했다간 큰일나니.. 교과서에 있는것만 적으면 100점이다.. 라고 일러주더군요. 비단 중학생때뿐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유치원, 초등학교때도 마찬가지였죠..

@bokyunglee2955
2023-11-27 20:26:23

교수라는 인간아 앵무새을 만들어라

@Oimk
2023-11-27 19:43:21

받으면 뭐하냐고 노벨과학상 0개따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서울대 천재타령 하는거보면 노벨과학상 25개 받은 일본인이 보기에 같잖을듯 ㅋ

@user-wx3my9wm9q
2023-11-27 16:12:38

인터뷰 두번째 까지만 듣는데 시험이 ㅈㄴ 교수님의 줏대로 맞춰진 주관100%라는 거네요 ㅎ

@kevincho4002
2023-11-26 11:29:01

교수가 바뀌어야 한다는 결론

@user-bt5om3iy2g
2023-11-26 10:44:42

시험테스트 점수에 관한 공부법이니 어쩌면 당연한결과 이지 않을까 싶네요 수학적능력이나 창의성의 문제는 또다른 부분일듯

Что ищут прямо сейчас
loops canal xbox brasil 이효이 Ласт Дей Рулес Рейд 桐蔭 兔子牙 Brasileiro na Irlanda 肝肾 親日 엔티크 棕櫚蠟 idfb aliexpress пуховики 黃品源 立ち方 проржавел бак для воды 藍明權 상간녀 蜜地瓜 noobs in apex
Похожие виде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