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영상은 2017년 5월 30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대학 입시의 진실 5부 교육 불평등 연대기>의 일부입니다. 하류의 자녀는 하류? 계층이 세습되는 일본을 통해 본 한국의 미래! 1억 명 중산층 사회를 표방했던 경제대국 일본. 하지만 현재 일본의 가장 중요한 사회적 키워드는 바로 ‘격차세습’이다. 부모의 학력과 연수입이 자녀에게 유전되는 잔혹한 상관관계! 하류의 자녀는 그대로 하류가 되는 일이 현실로 벌어지고 있다. 일본사회의 활력은 떨어지고 사회 이동성은 현저히 낮아지고 있는 현상은 곧 우리의 현실이 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사립유치원부터 사립대학 입학 루트를 밟은 부잣집 아이(4억4,240만원)와 공립교육 루트를 밟은 가난한 아이(1억3,450만원)의 교육비는 무려 3배 넘게 차이가 났다.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성적이 낮은 아이도 좋은 대학에 갈 수 있는 기회가 점점 늘어나는 현상은 대한민국에서도 마찬가지. 명문대일수록 부유층 자녀가 70% 이상 차지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와 함께 부모 경제력에 따른 대학 진학률의 차이(서울대 구인회 교수 연구), 동부산과 서부산의 교육격차(부산대 성병창 교수 연구) 등 대한민국의 교육 불평등의 현주소를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대학 입시의 진실 5부 교육 불평등 연대기 ✔ 방송 일자 : 2017.05.30 #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청년 #취업 #격차 #격차세습 #일본 #교육 #20대
부모의 경제력이 자식의 경제력을 결정하는게 아니라
부모에게 물려받은 지능과 성실성이 자식의 경제력을 결정하게 되는것이다.
사기를 당해 찢어지게 가난해진 부모 밑에서
피나는 노력으로 최고의 명문대를 장학생으로 입학한 뒤,
돈을 벌기위해 대학시절 내내 과외 아르바이트와 학업을 병행하며 살았는데 ...
안될 놈은 이런 저런 노하우를 아무리 떠먹여줘도 안되더라.
지능이 떨어지기도 하고,게으른 경우도 있고,인내심이 부족한 경우도 있고..
특히나 저렇게 포기하고 아무것도 안하는 인간들은 그냥 저렇게 게으르게 타고난것!
금쪽이니 어쩌니 그렇게 키워진 그냥 똥만드는 기계 일뿐.
뭐라도 해보라고!!
한국이 일본의 미래라는게 더 정확할듯, 왜냐면 한국이 일본의 망하는 속도를 넘어섰거든
저 일본인은 지금쯤 잘 지내고 있을까... 뭐 일본이 굶어죽는 나라는 아니니깐
일본이 30년만에 하는걸 우리는 5년만에 해내는듯ㅋㅋㅋ
새삼스럽게... 인류의 역사가 세습의 역사 아닌가요..
모든걸 포기했는데
마음의 평안이라도 얻게 해주는게 도리아닐까
인구를 오히려 줄여야할때다
사회가 요구하는 인력은 점점 줄어드는데 인구 유지하면 뭐하냐...
눈만 높아져서 잉여인력으로 남는다
이론적으로는 당연히 인구가 많아야 국가도 건강해진다하지만
그건 개도국이나 저 멀리 변방국들같은 발전여지가 많은 국가들이나 그렇지 아니면 아예 미국처럼 세계인들이 끊임없이 몰려드는 국가가 되든가
이미 눈높이가 높아질대로 높아진 지금 대한민국 세대들에게는
사실상 30-40%는 지금도 취업준비생이라는 명목으로 백수일텐데
이게 줄어든다? 아니 늘면 늘었지 더 늘어난다
일자리 창출이 답도 아니고
인구증가도 답도 아니고
경제부흥도 답도 아니다
주입식 고학력의 시대는 갔고 창의성과 주체적인 마인드를 성장시킬 수 있는 소수정예 세대가 앞으로 나아갈 길이라고 본다.
양질의 일자리는 어느시대나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우고 경험한 만큼 보이는게 인생이죠. 상류층은 그럴 기회가 많다보니 당연하게 견문이 넓어질 수 밖에없는 구조고, 하위층은 그저 하루하루 생존하기 바쁘니 그럴 시간도 기회도 없죠. 개천에서 용나는 경우가 예전세대는 종종 있었으나 지금은 꿈도못꾸죠.. 당연한 이치입니다..
좋아보인다.
저렇게 사는것도 낭만있어보이지만 사람이 아프다거나 계속 나이는 들어가는데 어떻게 저렇게 계속 살수있을까요? 젊었으니깐 저렇게 살지만 40대50대되면 갑갑합니다
일본 몇 대 때려놓은게 한국임 ㅋㅋㅋㅋㅋ
翻訳がめちゃくちゃやん
결코 바뀌지 않는다.
아니, 바꿀 수 없으니까 괜히 희망고문하지마라.
기존의 부와 권력을 무기로 자리잡은 악랄한 기득권들은
자신들과 같은 부류와 힘을 합쳐 자신들만의 성을 만든다.
그런 강력한 힘으로인해 현상태를 유지하거나,
일반인들은 알아도 손쓸 수 없게 방관자로 만든다.
혁명? 그 딴건 먹고살기 어려운 기초적인 문제지.
극단적인 부분만 건드리지 않는다면 노예는 만족을 안다.
또한 압도적인 숫자가 있어도 그들에게는 힘이 없다.
각자도생의 허우적거리는 자신들 배만 채우면 그 뿐,
더 큰 목표를 쟁취하고자 하는 그들의 욕심, 욕망에 비하면,
바람 앞에 촛불같은 나약한 모래성 그런 것이다.
정부? 그들은 세금도둑이며 문제시 되지 않는 한,
먼저 나서서 일을 하는 족속들이 아니다. 백해무익.
그런자들이 왜 없는자들을 위해 나설거라 보는가?
되려 부유층과 어울려 콩고물이라도 얻으려는게 그들이다.
모두가 다 알지만, 결코 바뀌지 않는다는 건.....
기득권의 발빠른 행동과 말뿐인 소외계층의 결과물인 것이다.
썸네일 김창렬인줄
ㅡㅡ 심각하다 뭐다냐 ㅡㅡ 심각하다
하류인생이라도 유지하려면 일 해야 하지 않을까......
90년대 초에는 일본이 우리의 10년 후라고 했는데 점점 간극이 줄어드네.
한국은 뭐 일하나 안하잖아 ㅋㅋ
어디든 가난한 계층에서 태어나는 건 슬픈 것이다. 놀음하고 마액히거 빛 늘리고 놀고 먹는 건 사회민폐다.
차라리 개, 돼지, 고양이 등으로 태어나면 사람한테 도움은 됨.